영국 작가 제인 오스틴의 명작 <오만과 편견>, <이성과 감성> 등의 작품의 유명성에 비례해 그녀의 일생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제인 오스틴은 어떤 시대를 살아왔는지, 무엇이 그녀를 성장하게 했는지 영화 <비커밍제인>이 소개합니다. 안 헤서웨이와 제임스 멕어보이(James McAvoy)의 로맨스 지금 시작합니다!
영국 햄프셔에서 작가를 꿈꾸던 제인 오스틴 앞에 나타난 부와 명예를 가진 청혼남 위슬리와
도시에서 온 가난한 변호사 톰 르프로이 인생을 바꿀 선택의 기로에 선 제인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랑에 전부를 바치는데…
영화 <비커밍제인>의 시대적 배경 : 18세기 영국 여성 작가의 어려움
제인 오스틴은 1775년 영국 햄프셔에서 태어나, 1817년에 세상을 떠났다.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그녀가 여성 작가로 자리 잡기에 어려움이 따랐다.
여성의 가장 큰 미덕은, 딸로서 효를 다하고, 결국 아내와 어머니가 되는 것입니다 여자가 통찰력과 재능이 뛰어나면 그걸 감추는 게 현명합니다. 똑똑한 건 위험한 재능이죠
영화 중 제인 오스틴의 아버지(제임스 크롬웰)의 대사
목사인 제인 오스틴의 아버지가 한 말로, 18세기 여성상을 엿볼 수 있다. 남성이 중심이 되는 사회에서 여성은 가정에 충실하고 좋은 딸, 아내, 엄마가 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었다. 반면에 제인 오스틴은 똑똑하고 그녀가 결혼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그녀는 좋은 딸도, 아내도, 엄마도 아니었다. 남성과 여성이 동일한 사회적 존재로 인식되는 현재의 시선과 그녀의 가치관은 3세기나 빨리 맞아 있었기에 그 시대에는 사회가 원치 않은 "별종"이었다.
소설은 시시한 여자들이나 읽는 한심한 글이라고요? 게다가 여자가 썼다면 더 그렇고요. 여자의 글은 위대한 정신도 없고 인간에 대한 이해나 유머, 재치도 없고 문장력도 형편없다는 뜻인가요?
영화 중 제인 오스틴의 대사
이 대사는 18세기의 여성 작가가 쓴 소설에 대한 '편견'을 잘 보여준다. 그녀는 이런 시선과 싸워나갔고 인간에 대한 이해나 유머, 문장력을 끌어올려 여성의 소설도 남성의 소설만큼 우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적 경험의 기회가 부족한 불리한 상황에서도 그녀의 재능과 소설의 뛰어남을 증명하는 것이 그녀의 목표였다.
영화 <비커밍제인>이 보여주는 제인 오스틴의 성장 : 톰 르포로이와 로맨스
제인 오스틴은 시골에서 글을 쓰면서 항상 주위 사람들에게 그녀의 재능에 대해 인정과 칭찬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톰 르프로이는 그녀가 그녀의 글을 낭독하는데 졸고 그녀의 글에 대해 자아도취적이고 감동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자신이 뛰어나다고 믿고 있었던 그녀에게 이는 엄청난 충격이었다. 자존심이 상한 그녀는 그녀의 글을 찢고 부족한 점을 찾아 나선다. 그렇게 그녀는 자신의 세상 밖으로 나가 더 성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톰 르프로이는 첫 만남부터 그녀가 더 좋은 작가 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준다.
톰 르프로이는 제인 오스틴에게 그녀가 더 좋은 작가가 되기에 '경험'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그녀는 진정한 사랑과 쾌락을 경험해 본 적 없기에 이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한 소설을 추천한다. 또한, 그는 그녀에게 그녀가 존경하는 그 시대의 유명한 여성 작가와 만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렇게 그는 그녀의 세계를 넓히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는 그녀에게 사랑을 가르쳐 주었다. 제인은 톰과 처음부터 티격태격하면서 서로와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혐관로맨스의 시작!) 그가 오만하고 무례하다고 느꼈던 그녀는 그를 알아갈수록 그렇지 않고 매력 있다고 느낀 그녀는 그에게 빠져들었다. 하지만 그녀와 그는 모두 가난했고 그녀에게 한 부유한 남자 위즐리가 청혼했다. 그렇게 그녀가 '돈'과 '사랑' 사이에 고민하고 있는데 그는 그녀를 찾아가 그녀를 떠본다. 그때 그녀는 그를 마음에 두고 있다고 고백하고 둘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다. 그렇게 제인 오스틴은 사랑의 설렘과 행복함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그를 후원하는 그의 삼촌이 이 결혼을 반대하자 그는 그녀에게 헤어지자 하고, 설상가상으로 얼마 되지 않아 약혼했다. 이를 통해 그녀는 '이별의 아픔'을 깨닫게 되고 그녀는 '사랑이란 동전의 뒷면'을 확인했다. 그 뒤에 그녀를 잊지 못한 톰은 다시 그녀를 찾아와 '사랑의 도피'를 제안하고 그들은 같이 떠난다. 그러나 그녀는 그가 지고 있는 부양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지 실감하고 그를 위해, 그녀를 위해, 시간이 지나서 서로가 서로를 미워하지 않도록 그녀는 그의 손과 서로를 파괴할 수 있는 가난한 사랑을 놓는다. 그렇게 그녀는 사랑에 빠지기부터 서로를 위해 놓아주기까지 열정적이지만 아프고, 눈멀었지만 현실적인 사랑을 했다. 그렇게 제인 오스틴은 톰 르프로이와의 기억, 사랑과 아픔을 담아 <오만과 편견>을 집필했다. 자신의 캐릭터만큼은 해피엔딩으로...
영화 <비커밍제인>의 명대사, 명장면
부부간에 사랑은 있으면 좋긴 하겠지만
돈이 없으면 못 사는 거야
Affection is desirable, but money is absolutely indispensable.
영화 중 제인의 어머니 (줄리 윌터스) 대사
가난만큼 영혼을 파괴하는 건 없어.
Nothing destroys spirit like poverty.
영화 중 제인의 아버지 (제임스 크롬웰) 대사
제인 오스틴은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부유하게 살기 위해서는 위즐리와 애정 없는 결혼을 해야 하고, 사랑하는 톰과 결혼하기 위해서는 가난할 각오를 해야 했다. 그녀는 처음에는 사랑을 선택했지만 가난 때문에 사랑이 변질되는 것을 우려해 그녀는 돈과 사랑 모두 포기했다. 살면서 제인 오스틴과 같은 상황에 처해 '돈'과 '사랑'을 선택해야 한다면? 내 인생에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라도 사랑은 변하기에 미래에 불행해질 수 있지 않을까? 내 인생을 진실로 가족도 다 포기하고 한 사람으로 만족할 수 있을까? 그리고 다르게 보면 '돈'은 사람을 매력적이게 만들지 않는가? 그렇다고 사랑 없이 결혼할 수 있는가? 적어도 우정과 존경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인생에서 한 사람만 사랑하는 것은 아니기에 그다음 사랑은 운이 좋으면 사랑과 돈, 적어도 가난을 대물림 하질 않을 정도의 재산과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일 수도 있지 않을까?
제인 오스틴과 톰 르프로이는 서로의 마음을 깨닫고 연인이 된다. 이 둘의 로맨스 서사를 좋아하지만 한 가지 의문이 든다. 왜 항상 이런 시대물 영화에서는 방탕한 남성이 순수하고 절제된 여성, 즉 사창가의 창녀들과 대조되는 여자들과 사랑에 빠지는 걸까? <브리지턴 Bridgerton>의 공작과 남작도 <비커밍제인>의 톰처럼 사창가를 드나들었고 귀족이나 순결한 여자들과 진지하고 깊게 사랑에 빠진다. 물론 매체에서는 이들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한 사람에게 사랑에 빠져 가정에 충실한 사람으로 바뀌어가는 식으로 전개를 시키겠지만, 사실이라면, 혹시 창녀들은 '유희' 그 이상으로 보지 않도록 선을 그어 놓은 것일까? 그런 선은 창녀들을 하찮게 보는 교육에서 비롯된 것일까? 사랑은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는데, 그런 선이 그어지는 것이 가능한가? 반면에 순결한 여자들에게 진지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랑하기 위해서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걸어야 하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해서 인가? 아님 순결한 여자들은 함부로 대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일까? 그렇기에 더욱 조심스럽고 진지해지는 것일까? 이렇게 무겁고 깊은 감정과 사랑을 볼 수 있는 것이 요즘시대의 영화, 드라마, 웹툰과 비교했을 때 이런 종류의 영화 강점이 아닐까?
<비커밍제인>을 시청하고 사실 제임스 맥어보이한테 빠졌는데요. 매력이 철철 넘칩니다

모두들 그의 매력에 빠지길 바라고,
<비커밍제인>은 넷플릭스와 왓챠에서 보시면 됩니다!
바로 고고!!
<비커밍제인> 리뷰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 영화 리뷰도 읽어보세요! 감사합니다!
영화추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정보 : 베르메르의 <진주 귀고리를 한
모두 '북유럽의 모나리자' 혹은 '네덜란드의 모나리자'로 불리는 화가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명화 아시지요? 그럼 혹시 '이 작품 속 이 소녀는 누구일까?' 상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영화 (피터
no-simsim.tistory.com